이것저것

[스크랩] 젖소의 근친교배 피해

_______! 2009. 11. 1. 19:22

1. 근친교배

 가. 근교계수

  근교계수는 어느 한 개체가 가지고 있는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그 개체의 공통선조가 가지고 있는 한 유전자의 복제일 확률이다. 이는 또한 근친교배에 의한 homo 성의 증가를 나타낸다. 근교계수의 값은 0에서 1사이에 혹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취한다.

  (1) 근교계수의 계산

 나.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가축이 생산되는 기초 집단 내 평균 혈연관계보다 가까운 개체간의 교배를 말한다. 특히 형제자매간교배, 부낭간교배, 모자간교배 등은 고도의 근친교배이다. 유전적으로 비슷한 근친교배에 의해 생존에 불리한 표현형을 가진 자손이 생겨남으로써 환경과 경쟁에 취약해지고 그 결과 개체군의 크기가 위축되는 현상을 근교퇴화(inbreeding depression)라고 한다.

 (1) 교배방법에 따른 근교계수

 표 1. 교배방법에 따른 새끼의 근교계수

교 배 법

새끼의 근교계수(%)

아비 x 딸

아들 x 어미

전형매(全兄妹)간

아비 x 아비의 (외)손녀

25.0

25.0

25.0

12.5

 

 표 2. 세대수 증가에 따른 근교계수의 변화

세대

교배법에 의한 근교계수(%)

자가수분

전형매

반형매

1

50.0

25.0

12.5

2

75.0

37.5

21.9

3

87.5

50.0

30.5

4

93.8

59.4

38.1

5

96.9

67.2

44.9

 (2) 근친교배의 피해

 젖소에서 근친교배를 시킬 경우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후구마비, 관절 강직, 태아의 미이라변성(fetal mummification), 사산 등이며, 암소의 번식 능력을 저하시켜 수태당 종부 소요회수가 증가되기도 하고, 생산된 송아지의 사망률도 상승된다. 근친교배는 유기당 비유량, 유지생산량 등과 같은 양적형질 등도 저하시키는 경향이 분명하다. 아래 표 3은 근교계수 1% 증가에 따른 몇 가지 형질들의 변화량을 여러 보고에서 발췌해 종합한 것으로 대부분의 형질이 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 낙농가는 근친된 가축을 대량으로 도태시킬 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한 근친교배는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표 3. 근교 계수 1% 증가에 따른 각 형질의 변화량

형  질

변 화 량

형  질

변 화 량

비 유 량 (㎏)

유지 생산량 (㎏)

유 지 율 (㎏)

생 시 체 중 (㎏)

-23

-0.7

+0.005

-0.1

초산 송아지 폐사율 (%)

수태당 종부회수 (회)

임신 실패율 (%)

성 성숙 연령

+2.0

+0.05

+0.5

지연됨

 

 (3) 근교피해 방지

 고도로 근교된 개체는 근교되지 않은 개체에 비해 높은 송아지 사산율과 성장률 저하 및 생산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므로 자손의 근교계수가 6.25%를 넘지 않도록 교배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근교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따라서 근교를 피하면서 축군의 교배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개체의 혈통기록을 정확히 기록하고 보관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박영일 외. 1999. 가축육종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CAAB, 1993. Your guide to genetic improvement. Woodstock Ontario, Canada

Van Vleck, L. D. et al. 1987. Genetics for the animal science. W. H. Freeman   Company, New York.

출처 : 내 멋대로........
글쓴이 : Luid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