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태극기

_______! 2015. 1. 4. 17:06



조선일보의 사진설명에 따르면 사진속의 태극기는 각각 일본 신문 시사신보 1882년 10월 2일자에 실렸던 ‘조선국기’<왼쪽>와 청나라 외교문서 ‘통상장정성안휘편’에 수록된 1883년 3월의 ‘고려국기’<가운데>. 오른쪽은 태극기의 저본으로 알려진 규장각 소장 어기(御旗) ‘태극팔괘도’라고 나와있다. 


대청국속이라고 표시된 태극기 사진은 청나라 외교문서 ‘통상장정성안휘편’에 수록된 1883년 3월의 ‘고려국기’라고 사진설명이 실려있는데 한번 살펴보자.


원서명 通商章程成案彙編  

현대어서명 통상장정성안휘편

청구기호 奎中 5801-v.1-12 

편저자(한자)  李鴻章(淸) 編  판본사항 古活字本 간행지 鐵城 책권수 30卷 12冊, 彩色圖 

<br>편저자(한글) 이홍장(청) 편 간행연도 [光緖12年(1886) 序] 간행자 廣百宋齋藏 책크기 19.8×12.9cm 

匡郭  版心  표기문자

表紙,版心,卷頭書名 

序,跋,卷首,卷末 序:光緖十有二年(1886)…李鴻章 


'통상장정성안휘편(通商章程成案彙編)'이란 중국 청나라 이홍장이 1886년 청나라와 외국이 맺은 조약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기록한 책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는 문서다.


즉 조선일보가 실은 기사속의 사진은 기사내용과는 무관한 1886년 중국인 이홍장이 발간한 책에 기록된 태극기다. 책의 발간일이 1886년이므로, "1883년 3월에 제작된 고려국기"라는 조선일보의 사진설명은 신빙성이 의문시될 뿐더러 1882년 발간된 서적(1882년 미국 해군성자료: 두번째 사진)에 이미 태극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가장 오래된 태극기도 아니다.




(1882년 미국해군성(Navy Department) 항해국이 출간한 "해상국가들의 깃발"에 실린 태극기 사진)


결론적으로 조선일보기사는 최초의 태극기가 1882년 5월 22일 조미(朝美) 수호통상조약 당시 내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를 실으면서 사진은 1882년 미국 해군성자료(해상국가들의 깃발 : Flags of Maritime Nations)가 아닌 중국인이 멋대로 만든 자료속의 사진등을 사용한 것이다. 설명따로 사진따로 한마디로 기자놈이 무식한 것.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다 및 신데렐라  (0) 2015.01.06
일본 우익 머저리들  (0) 2015.01.05
잡다  (0) 2015.01.04
잡다  (0) 2014.12.31
GDC 2014: Rescape Kickstarter Video  (0) 201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