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스크랩] 일제시대(日帝時代) 군사용어(軍事用語)의 대다수는 조선(朝鮮)의 용어 였다.

_______! 2015. 10. 29. 00:53

 

군대에서 사용되는 군사용어(軍事用語)의 대다수가 일제(日帝)가 만든 용어를 사용한다고 모 정치인의 주장이 신문등에 보도된 바 있으며 모 대학 교수도 이를 비판한바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이 현재의 군대에서 사용중인 군사용어(軍事用語)를 고찰 해 본 결과 이는 사실과 달랐습니다. 현재 군대에서 사용중인 군사용어(軍事用語)의 대다수는 조선왕조실록과 학자들의 문집등에서

이미 쓰여진 용어들 이었습니다. 조선시대 학자들의 문집을 통해서 보면 일제가 본격적으로 인문학적 학문의 발전을 이룬 시기가 임진왜란을 거쳐 1700년대 전후 입니다. 이들이 사용한 한자 용어의 상당수가 어디에서 왔을 까요? 임란을 거치며 이들이 약탈한 인문학적 자료와

이들이 납치해간 성리학자로 부터 이들의 학문이 일취월장으로 발전해 갑니다. 즉 조선에게서 배운 인문학적 소양이 이들이 사용한 용어로 남아 있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이 사용한 용어가 조선의 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과 수 많은 학자들의 문집에 같은 의미 같은

용어가 수많이 산재해 있는 것입니다. 즉 현재의 군사용어(軍事用語)의 대다수들은 일제가 창작한 용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된 모 정치인 말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초병(哨兵),일석(日夕),일조(日朝),점호(點呼),순검(巡檢),군장(軍裝),사열(査閱),연병장(練兵場),유격(遊擊),도하(渡河),훈육(訓育),잔반-짬빵(殘飯),사역(使役),파지(把持),투척(投擲),약진(躍進),포복(匍匐),소산(蕭散),수하(誰何),도수(徒手),운반(運搬),집총(執銃),귀관(貴官),막사(幕舍),세면(洗面),작일(昨日),금일(今日),명일(明日)..."등이 일제가 만든 용어라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이들 용어와 관련된 고문(古文)의 그 출처를 보면,

 

 

초병(哨兵)---기재사초 하(寄齋史草下) 임진일록 4(壬辰日錄四), 미수기언 별집 제22권 구묘문(丘墓文), 선조 26년 계사(1593,만력 21) 2월5일 (경인), 선조 31년 무술(1598,만력 26) 3월1일 (병술), 광해군 4년 임자(1612,만력 40) 10월1일 (신유),

현종개수실록 4년 계묘(1663,강희 2) 2월29일 (무진)...외 다수의 기록

 

 

일석(日夕),일조(日朝)--- 지산집 가례고증 제6권 상례(喪禮),이봉집(夷峯集) 권 4 뇌사(誄詞)...외 다수의 기록 (문장이나 단어 앞에 등장하는 일(日)은 매일(每日=날마다)을 의미 합니다. 옥편을 보아도 일(日)에 매일(每日=날마다)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일석(日夕),일조(日朝)을 두고 어느 혹자는 한,중,일, 동양 삼국에 없는 비문(非文=용례가 없는 문장)이라 했습니다. 비문인데 어찌하여 조선의 고문헌에 등장할까요? )

 

 

점호(點呼)--- 하곡집(荷谷集) 조천기 상 갑술년 만력(萬曆) 2년 (1574, 선조 7) 6월 23일(병인), 하곡집(荷谷集) 조천기 중 갑술년 만력(萬曆) 2년 (1574, 선조 7) 7월

(점호라는 용어는 논란이 많은 용어 였습니다. 어느 혹자는 점호가 조선왕조실록에서 조차도 없는 용어라 했습니다. 조선왕조실록만이 우리나라의 고문헌 인가요? 이 어느 혹자는 학자들의 문집은 고문헌이 아닌가 봅니다.

또한 국립국어원 조차도 점호(點呼)의 용례와 출처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위의 하곡집은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의 형인 허봉의 저작 입니다. 이 기록에서 두번씩이나 점호(點呼)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문장의 처음에 점호(點呼)를 사용하고 문장의 후반에 점명(點名)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한자는 왠만해서는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즉 점호(點呼)란 점명(點名=인명부,특정인의 명단)을 부르는 행위인 것입니다.

엄현히 고문헌에 점호(點呼)라는 용어가 사용된 용례가 있는데 어느 혹자는 이를 고증하지 않고 연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일본어로 치부해 버렸습니다. 이는 이러한 용어를 사용한 조상들에 대한 대단한 실례 입니다.)

 

 

순검(巡檢)--- (이 순검이라는 용어의 출처는 무수하게 많습니다. 일일히 언급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조선왕조실록과 학자들의 문집에 무수하게 널린 용례를 찾을수 있습니다.현재 군대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 순검(巡檢)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현재의 군대에서 사용되는 순검이라는 용어는 육군과 더불어 다른 군대에서 사용되는 점호(點呼)와 같은 의미의 용어 입니다.

순검이라는 용어는 고려,조선이 사용한 용어 이며 이 용어는 일본도 사용하고 조선도 사용했던 용어 입니다.

그러나 순검이라는 용어는 고려,조선 시대에 점호적인 기능만을 말하기에는 상당히 무리가 있습니다. 조선후기때는 지방의 치안에 관계된 일에 대해 순검이라 했고,

구한말 대한제국 시대에는 치안에 관계된 관직명이 순검이었 습니다. 그러나 고려,조선의 후기 그 이전의 순검이라는 것은 순검사,순검군을 두고 각 지방에 대한 수사,감사(監査),관리규찰,군대 감찰에 대한 업무를 말하는 것이고

또 임금이 명한 사헌부 혹은 어느 기관이 중앙 정부의 관리 규찰,감사,수사의 업무를 순검이라 했습니다.

조선시대 순검은 그 기능적인 측면으로 볼때 오늘날 점호적인 측면의 순검과 거의 관련이 없습니다. 조선시대 그래도 비교적 점호적인 성격에 해당되는 용어는 순점(巡點)이었 습니다. 조선왕조실록 군대관련 기록을 보면

군대의 훈련과 점검에 해당되는 용어는 거의 모두다 순점(巡點)이었 습니다. 고려,조선시대에 사용된 순검(巡檢)과 현재의 야전 군대에서 사용하는 순검(巡檢)은 근본적으로 그 격이 다른 의미 입니다.

현재의 군대에서 사용되는 순검(巡檢)은 고려,조선시대에 왕명과 중앙정부가 주체가 되어 사용된 순검(巡檢)에서 단어만을 차용한 순검 입니다.)

 

 

군장(軍裝)--- 세종 1년 기해(1419,영락 17) 12월16일 (병술), 문종 1년 신미(1451,경태 2) 4월26일 (갑오), 세조 2년 병자(1456,경태 7) 3월13일 (임오), 예종 1년 기축(1469,성화 5) 1월6일 (신유),성종 4년 계사(1473,성화 9) 2월10일 (신미), 연산군 5년 기미(1499,홍치 12) 5월17일 (병자), 중종 2년 정묘(1507,정덕 2) 8월26일 (정유),명종 1년 병오(1546,가정 25) 9월28일 (임오),

선조 26년 계사(1593,만력 21) 7월15일 (정묘)...외 다수의 기록 너무도 많은 용례가 존재 합니다.

 

 

사열(査閱)--- 홍재전서 제39권 봉서(封書) 1, 순조 11년 신미(1811,가경 16) 4월17일 (갑자), 선조 39년 병오(1606,만력 34) 6월20일 (정사).등의 기록

 

 

연병장(練兵場=혹은 연병(練兵)--- 간이집 제1권 제문(祭文), 계원필경집 제17권 계(啓)ㆍ장(狀), 다산시문집 제1권 시(詩), 만기요람 군정편 1 경영진식(京營陣式) 수어청(守禦廳), 선조 27년 갑오(1594,만력 22) 5월25일 (임인)...그외 다수의 기록.

연병장은 연병(練兵)과 장(場)이 합쳐진 합성어 이다.

 

 

유격(遊擊)---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 절요,학자들의 문집에 무수하게 등장하는 용어가 유격(遊擊)이라는 용어 입니다.조선의 유격(遊擊)은 장군으로서 정4품 상(上)부터 종5품 하(下)까지 의 품계를 지니고 있었고, 그 휘하의 병사들을 유병(遊兵)이라 호칭했습니다. 이들의 임무는 처음부터 공격할 적을 정하지 아니하고 그 형편,사정에 따라 아군을 도아 적을 공격하는게 주 임무 였습니다.

 

 

도하(渡河)--- 선조 32년 기해(1599,만력 27) 9월19일 (을축), 영조 29년 계유(1753,건륭 18) 11월18일 (기사), 다산시문집 제5권 시(詩), 목은시고 제4권 시(詩), 백사집 제1권 시(詩), 삼봉집 제2권 칠언율시(七言律詩),

상촌선생집 제12권 시(詩)○칠언율시(七言律詩) 99수... 그와 다수의 기록

 

 

훈육(訓育)--- 명암집(鳴巖集) 권지6 제문(祭文) 조선 후기 숙종시대의 학자 이해조(李海朝)의 시문집, 여호집(黎湖集) 권지25 묘표(墓表) 조선 후기 영조때의 학자 박필주(朴弼周)의 시문집,죽하집(竹下集) 권지19 묘지명(墓誌銘) 조선후기 영조,정조때의 학자 김익(金熤)의 시문집... 그와 다수의 기록

 

 

잔반(殘飯)--- 계곡선생집 제27권 오언 율시(五言律詩) 150수, 성소부부고 제1권 시부 1 ○ 풍악기행(楓嶽紀行),풍고집(楓皐集) 권지3 시(詩)조선후기 영조때의 국구 ·문신인 김조순(金祖淳)의 시문집...외 다수의 기록

 

 

사역(使役)--- 해사일기(海槎日記) 4 갑신년 2월 27일(기유), 정조 24년 경신(1800,가경 5) 3월25일 (정축),정조 8년 갑진(1784,건륭 49) 11월26일 (정축)...외 다수의 기록.

 

 

파지(把持)--- 순조 30년 경인(1830,도광 10) 8월29일 (갑인), 순조 30년 경인(1830,도광 10) 9월1일 (병진), 백호전서 제2권 시(詩)○칠언사운(七言四韻) 역대가(歷代歌)...그와 아주 많은 용례의 기록.

 

 

투척(投擲)--- 용재집 제8권 차황화시(次皇華詩), 청장관전서 제8권 예기억 2(禮記臆二),계산기정,부상록,심전고,해사록...그외 아주 많은 용례의 기록

 

 

약진(躍進)--- 강한집(江漢集) 권지19 묘자명(墓誌銘),연경재전집 외집 권 70... 등의 기록

 

 

포복(匍匐)--- 선조 27년 갑오(1594,만력 22) 8월15일 (경신), 인조 10년 임신(1632,숭정 5) 10월20일 (갑신), 숙종실록보궐정오 38년 임진(1712,강희 51) 4월27일 (기묘)...그 외 아주 많은 용례의 기록.

 

 

소산(蕭散)--- 세조 7년 신사(1461,천순 5) 6월5일 (갑술), 청음집 제6권 칠언율시(七言律詩) 164수(一百六十四首)...그와 다수의 기록

 

 

격발(擊發)--- 출처 임하필기 임하필기에서 서로 부딪혀 분출된다는 의미(交相擊發)

 

 

수하(誰何)--- 태종 2년 임오(1402,건문 4) 6월18일 (경오),태종 10년 경인(1410,영락 8) 5월15일 (신사), 세조 14년 무자(1468,성화 4) 7월9일 (병인),중종 15년 경진(1520,정덕 15) 1월13일 (임인)...그외 수 많은 용례의 기록.

 

 

도수(徒手)--- 다산시문집 제2권 시(詩), 백사집 제1권 시(詩), 학봉집 제2권 시(詩)...그외 다수의 용례.

 

 

운반(運搬)--- 송암집(松巖集) 권지4 학봉선생 용사사적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인 이로(李魯)의 시문집,일사집략(日槎集略) 문답록(問答錄) 조선 고종때의 문신 학자인 이헌영(1837-1910)이 조선 고종 18년(1881)에 일본에 파견되었던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한 사람으로 자기가 맡은 분야의 실정을 조사한 결과와 기타 문견(聞見)을 기록하여 보고 하 것...등의 기록

 

 

집총(執銃)--- 인재집(訒齋集) 권지8 서(書) 조선 선조때의 문신 최현(崔睍)의 시문집, 의암집(毅菴集) 권지36 잡저 의병규칙 조선 말기 고종때의 위정척사론자·의병장인 유인석(柳麟錫)의 시문집. 등의 기록

 

 

귀관(貴官)--- 조선왕조실록 태조총서,단종 1년 계유(1453,경태 4) 2월12일 (기해), 선조 30년 정유(1597,만력 25) 6월3일 (임술) 재조번방지 5(再造藩邦志 五)...외 다수의 용례.

 

 

막사(幕舍)--- 동명집(東溟集) 권지6 1593(선조 26)∼1646(인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김세렴(金世濂)의 시문집. 막사(幕舍)라는 용어 표기는 거의 유일한 용례이며 고문(古文)에서 막사에 해당되는 용어는 막(幕),의막(依幕),결막(結幕)등 입니다.

 

 

세면(洗面)--- 사가시집 제29권 시류(詩類), 사가시집 제44권 시류(詩類), 산림경제 제3권 벽온(辟瘟)...외 다수의 용례.

 

 

작일(昨日),금일(今日),명일(明日)--- 조선왕조실록,고려사절요,학자들의 문집등에 너무 많은 용례가 있어 언급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이토록 수 많은 용례가 있는데 일본식의 군대용어,혹은 일본식 한자어라 주장하는지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모포(毛布)--- 세종 15년 계축(1433,선덕 8) 10월23일 (임신), 연산군 4년 무오(1498,홍치 11) 12월21일 (임자), 정조 22년 무오(1798,가경 3) 1월15일 (경진)...그외 다수의 용례.

 

 

침상(寢床)--- 백암집(柏巖集) 권지6 제문(祭文) 1540(중종 35)∼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김륵(金玏)의 시문집, 쌍계유고(雙溪遺稿) 권지5 책문(冊文) 1719(숙종 45)∼1792(정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이복원(李福源)의 시문집 등의 용례.

 

 

촉수(觸手)---고봉집 제1권 [시(詩)], 택당선생집 제1권 시(詩)...등의 용례

 

 

엄금(嚴禁)--- 세종 12년 경술(1430,선덕 5) 6월18일 (정해), 중종 36년 신축(1541,가정 20) 11월24일 (병오)...외 다수의 용례.

 

 

담가(擔架)--- 해유록(海游錄) , 청천집(靑泉集) 속집 권지5 조선 후기 숙종때의 문인 신유한(申維翰)의 시문집, 해사일기(海槎日記) 2월 조선 영조 때 조엄(趙曮)이 통신정사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기록한 사행 기록.등의 기록

 

 

수양록(修養錄 혹은 수양(修養)--- 산림경제 제1권 섭생(攝生), 인정 제18권 선인문 5(選人門五), 청장관전서 제55권 앙엽기 2(盎葉記二)...그 외 다수의 용례

수양록은 수양(修養)이라는 용어에 록(錄)이 합쳐진 합성어 이다.

 

 

등화(燈火)--- 세조 9년 계미(1463,천순 7) 2월21일 (경진)->실록에서 등화 즉 등잔불의 등잔을 하사 했다고 했다. ...그 외 수 많은 용례의 기록.

 

 

관제(管=官制)--- 정조 22년 무오(1798,가경 3) 11월24일 (계미),영조 19년 계해(1743,건륭 8) 1월9일 (갑자), 숙종 28년 임오(1702,강희 41) 10월30일 (정미)...그 외 다수의 용례.

 

 

복명(復命)--- 이 용어는 조선왕조실록,학자들의 문집에 그 용례가 넘쳐 납니다. 너무도 많아 그 출처를 언급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복창(復唱)---곤륜집(昆侖集) 조선 숙종 때의 문신 ·학자인 최창대(崔昌大:1669~1720)의 시문집, 순암집(順菴集) 권지 27 조선 후기 동사강목의 저자 인 안정복의 문집...등의 용례. 위 문헌에서 복창의 의미는 다시 제창하다.의 의미

 

 

출처 : 정음잡필(正音雜筆)
글쓴이 : 正音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