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99.jpg) | 소쇄원 광풍각 전경 |
|
연 락 처 : 소쇄원 관리사무소 (061-382-1071)
지정번호 : 사적 제 304호
소 유 자 : 사유(제주양씨 산보의 후손 양원로(양재영)
규 모 : 정원 일원(1,500평)
시 대 : 조선 중종(1530년대)
지정 연월일 : 1983년 7월 20일
개 요 : 소쇄원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은사인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기묘사화로 능주로 유배되어 세상을 떠나게 되자 출세에의 뜻을 버리고 자연속에서
숨어 살기 위하여 꾸민 별서정원(別墅庭園)이다. 주거와의 관계에서 볼때에는 하나
의 후원(後園)이며, 공간구성과 기능면에서 볼 때에는 입구에 전개된 전원(前園)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溪園) 그리고 내당(內堂)인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內園)으로 되어 있다.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86.jpg)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88.jpg) | 소쇄원의 다리 풍경 | 소쇄원 다리 |
전원(前園)은 대봉대(待鳳臺)와 상하지(上下池), 물레방아, 그리고 애양단(愛陽壇)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원(溪園)은 오곡문(五曲門)곁의 담 아래에 뚫린 유입구로
부터 오곡암 폭포 그리고 계류를 중심으로 여기에 광풍각(光風閣)을 곁들이고 있다.
광풍각의 대하(臺下)에는 석가산(石假山)이 있었다. 이 계류구역은 유락공간으로서
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내원(內園)구역은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으로서 당(堂)과 오곡문(五
曲門) 사이에는 두 계단으로 된 매대(梅臺)가 있으며 여기에는 매화, 동백, 산수유
등의 나무와 기타 꽃나무가 심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곡문(五曲門) 옆의 오암
(鼇岩)은 자라바위라는 이름이 붙여지고 있다.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87.jpg)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90.jpg) | 소쇄원의 작은 연못 | 소쇄원 계곡 |
또 당 앞에는 빈 마당이 있고, 광풍각 뒷편 언덕에는 복숭아나무가 심어진 도오(桃
塢)가 있다. 당시에 이곳에 심어진 식물은 국내종으로 소나무, 대나무, 버들, 단풍,
등나무, 창포, 순채 등 7종이고 중국종으로 매화, 은행, 복숭아, 오동, 벽오동, 장
미, 동백, 치자, 대나무, 사계, 국화, 파초 등 13종 그리고 일본산의 철쭉, 인도산
의 연꽃 등 모두 22종에 이르고 있다.
소쇄원은 1530년(중종 25년)에 양산보가 꾸민 조선시대 대표적 정원의 하나로 제월
당(霽月堂), 광풍각 (光風閣), 애양단(愛陽壇), 대봉대(待鳳臺)등 10여개의 건물로
이루어졌으나 지금은 몇 남아 있지 않다.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89.jpg)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591.jpg) | 제월당 | 시원스런 대나무 |
제월당(霽月堂)은 "비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이라는 뜻의 주인을 위한 집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광풍각(光風閣)은 "비갠뒤 해가 뜨며 부는 청
량한 바람"이라는 뜻의 손님을 위한 사랑방으로 1614년 중수한 정면 3칸, 측면 3칸
의 역시 팔작지붕 한식이다.
정원의 구조는 크게 애양단(愛陽壇)을 중심으로, 입구에 전개된 전원(前園)과 광풍
각(光風閣)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溪園), 그리고 내당인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內園)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가적(道家的)인 색채도 풍겨나와 오암(鰲岩), 도오(桃塢), 대봉대(待鳳臺) 등 여
러 명칭이 보인다. 제월당에는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가 쓴「소쇄원사십팔영시
(瀟灑園四十八詠詩)」(1548)가 있으며, 1755년(영조 31) 목판에 새긴「소쇄원도(瀟
灑園圖)」가 남아 있어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있게 한다.
소쇄원은 1528년 처음 기사가 나온 것으로 보아 1530년 전후에 착공한 것으로 보여
진다. 하서 김인후 (河西 金麟厚)가 화순으로 공부하러 갈때 소쇄원에서 꼭 쉬었다
갔다는 기록이 있고 1528년 『소쇄정즉사(瀟灑亭卽事)』에는 간접적인 기사가 있다.
|
![](http://visitkorea.or.kr/photo/sightguide/1_12_35600.jpg) | 소쇄원 담장과 광풍각 전경 |
송강 정철(松江 鄭澈)의 『소쇄원제초정(瀟灑園題草亭)』에는 자기가 태어나던 해
(1536)에 소쇄원이 조영된 것이라 하였다.
1542년에는 송순이 양산보의 소쇄원을 도왔다는 기록이 있다.
소쇄원은 양산보 개인이 꾸몄다기보다는 당나라 이덕유(李德裕)가 경영하던 평천장
(平泉莊)과 이를 모방한 송순, 김인후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이다.
1574년 고경명(高敬命)이 쓴 『유서석록(遊瑞石錄)』에는 소쇄원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이 있어 당시 소쇄원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개장시기(이용기간) : 연중무휴
관람최적시기 5월~10월
이용요금 : [입장료]
구 분 개 인 단 체 (양씨문중에서 징수)
----------------------------------------------
어른 1,000원 800원 (단체는 10명 이상시)
중.고생 700원 500원
초등생 500원 300원
* 미취학아동(7세 미만),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우 무료
[주차요금]
소형 2,000원 / 대형 5,000원 (담양군에서 징수)
이용시설 : 1,200평 주차장 50여대 주차가능
교 통 : 1) 광주 동신전문대 앞에서 225번 버스 이용하여 광주호를 지나 소쇄원 앞 하차
30분 정도 소요 / 40∼50분 간격
2) 광주터미널에서 1000번 공항버스타고 장원초등학교 앞 하차, 내린 정류소에서
그대로 187번 타고 소쇄원 앞 하차 / 배차간격 50~57분
도로안내 :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에서 광주로 진입, 300m쯤 달리다 왼쪽(광주교도소 방향)
887번 지방도로 (5.3km쯤 남하) 식영정 앞 →(1.2km) 좌회전 → 250여m → 소쇄원
(식영정과 소쇄원 사이 삼거리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돌리면, 충장사와 무등산 가는
길이다)
숙 박 : 남 면 - 럭키하우스 (061)381-3312
- 베스트모텔 (061)383-8800
담양읍 - 파레스호텔 (061)381-6363
- 성림장 (061)382-9951
- 코리아장 (061)383-0150
안내문의 : 담양군청 문화관광과 061-380-3150~4
홈페이지 : www.damyang.go.kr
정보제공자 : 담양군청 문화관광과 061-380-3150~4 | 작성기준일 2007년 06월 13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