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스크랩] 2100년, 국토 4% 바닷물에 잠긴다… KEI,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보고서

_______! 2013. 11. 10. 17:05

2100년, 국토 4% 바닷물에 잠긴다… KEI,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보고서

국민일보 | 입력 2012.02.12 19:11 | 수정 2012.02.12 21:43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100년에 우리나라 국토의 4.1%가 침수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침수구역 주거지는 전국 주거지의 5%에 이르고 침수된 주택의 가치는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지난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건국대, 동국대 등과 함께 수행한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협동연구 보고서를 12일 공개했다. KEI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지역 주거·항만·공공시설 등의 취약성을 국내 최초로 평가하기 위해 기후변화정부간패널(IPCC)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최근 산출된 기상청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했다.

기상청은 IPCC의 국제표준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가운데 RCP 4.5와 RCP 8.5에 따라 2100년까지의 우리나라 해수온도 상승치를 계산했다. RPC 4.5는 2100년까지 이산화탄소 농도를 650ppm으로, RCP 8.5는 1370ppm으로 각각 안정화시킨다는 것이다. KEI는 RPC 4.5 시나리오를 적용할 때 남한의 해수면은 2100년까지 1.33m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경우 남한의 총 침수면적은 전체의 4.1%에 이른다.

시도별 침수면적을 보면 전남이 1434㎢로 가장 넓고, 충남(849㎢), 전북(613㎢), 인천(468㎢), 경기(304㎢)가 뒤를 이었다. 서해안이 집중적으로 침수되는 것이다. 경남은 225㎢, 제주도는 88㎢다. 침수면적 비중으로는 인천이 46%로 압도적 1위였다. 전남이 11.7%, 충남이 9.8%로 2, 3위였다.

해안 지역은 보존가치가 높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주거, 관광, 항만, 산업단지, 발전소 등이 집중돼 있다. 2100년 전국 침수예상지역에 있는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현재가치는 30조원에 이른다. 침수예상지역의 공동주택 가치 22.6조원은 전국 공동주택 총 가치의 약 1.44%다. 인천이 6조원으로 최대, 부산 4조8000억원, 경기도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국 침수예상지역의 개별주택가치는 6조9000억원으로 약 1.52%에 달한다.

50년 후 상승된 해수면 수위에서 50년 빈도의 해일이 발생했을 때 전국 29개 무역항의 62%인 18곳이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는 충남 보령항, 전남 여수항, 경남 통영항, 전북 군산내항과 외항, 인천항, 충남 장항항, 경남 옥포·삼천포항 등이 포함됐다.

또한 25개 연안항의 68%인 17곳도 위험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제주항과 서귀포항은 해수면 상승폭은 크지만 시설물이 높은 편이어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

<goodnewspaper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100년에 우리나라 국토의 4.1%가 침수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침수구역 주거지는 전국 주거지의 5%에 이르고 침수된 주택의 가치는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지난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건국대, 동국대 등과 함께 수행한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협동연구 보고서를 12일 공개했다. KEI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지역 주거·항만·공공시설 등의 취약성을 국내 최초로 평가하기 위해 기후변화정부간패널(IPCC)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최근 산출된 기상청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했다.

기상청은 IPCC의 국제표준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가운데 RCP 4.5와 RCP 8.5에 따라 2100년까지의 우리나라 해수온도 상승치를 계산했다. RPC 4.5는 2100년까지 이산화탄소 농도를 650ppm으로, RCP 8.5는 1370ppm으로 각각 안정화시킨다는 것이다. KEI는 RPC 4.5 시나리오를 적용할 때 남한의 해수면은 2100년까지 1.33m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경우 남한의 총 침수면적은 전체의 4.1%에 이른다.

시도별 침수면적을 보면 전남이 1434㎢로 가장 넓고, 충남(849㎢), 전북(613㎢), 인천(468㎢), 경기(304㎢)가 뒤를 이었다. 서해안이 집중적으로 침수되는 것이다. 경남은 225㎢, 제주도는 88㎢다. 침수면적 비중으로는 인천이 46%로 압도적 1위였다. 전남이 11.7%, 충남이 9.8%로 2, 3위였다.

해안 지역은 보존가치가 높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주거, 관광, 항만, 산업단지, 발전소 등이 집중돼 있다. 2100년 전국 침수예상지역에 있는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현재가치는 30조원에 이른다. 침수예상지역의 공동주택 가치 22.6조원은 전국 공동주택 총 가치의 약 1.44%다. 인천이 6조원으로 최대, 부산 4조8000억원, 경기도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국 침수예상지역의 개별주택가치는 6조9000억원으로 약 1.52%에 달한다.

50년 후 상승된 해수면 수위에서 50년 빈도의 해일이 발생했을 때 전국 29개 무역항의 62%인 18곳이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는 충남 보령항, 전남 여수항, 경남 통영항, 전북 군산내항과 외항, 인천항, 충남 장항항, 경남 옥포·삼천포항 등이 포함됐다.

또한 25개 연안항의 68%인 17곳도 위험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제주항과 서귀포항은 해수면 상승폭은 크지만 시설물이 높은 편이어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

출처 : 한울문학
글쓴이 : 한울문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