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
<고려시대 석관에 출현한 카시오페이아>
[연합뉴스]
"중국ㆍ일본 전통 천문도에는 없는 별자리"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근대 서구 천문학 개념이 도입되기 전 동아시아 전통 천문도에는 좀체 보이지 않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가 고려시대 별자리 그림에서 연이어 출현하고 있다.
북극성을 가운데에 두고 북두칠성과 마주한 자리에 위치하는 카시오페이아는 5개 별자리로 구성된다.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에서 이들 5개 별자리는 하나의 무리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독 고려시대 천문도에서는 이들 5개 별자리가 선으로 연결된 채 한묶음이 되어 나타나고 있다.
고려시대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그림은 국립민속박물관이 2004년 개최한 '천문(天文), 하늘의 이치ㆍ땅의 이상' 특별전에 출품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관 뚜껑(가로 63.5, 세로 45.9 높이 25.3cm) 1점이 알려져 있을 뿐이었으나 최근 들어 3점 가량의 실물 자료가 더 공개됐다.
그 중 2점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최근 개막한 '고려시대 묘지명' 특별전에 출품됐다. 하나는 유물번호가 '신수 5880'(신수는 최근 얻은 자료라는 뜻)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씨녀 묘지명'으로 석관 뚜껑 안쪽에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북두칠성, 나아가 해와 달 그림과 함께 새겼다.
다른 하나는 이초원처김씨석관(李初元妻金氏石棺) 뚜껑 안쪽에 새긴 천문도로서 여기서도 카시오페이아 5개 별자리는 선으로 연결된 채, '신수 5880' 유물이 그런 것처럼 가운데에 북극성 별자리 하나를 배치한 채 북두칠성 맞은 편에 자리잡고 있다.
이 외에도 고려사 전공인 허흥식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중국을 통해 입수된 고려시대 석관 자료 1점을 공개했는데, 여기에서도 카시오페이아 별자리가 발견됐다.
한ㆍ중 고대 천문사상사 전공인 고구려연구재단 김일권 박사는 "별자리 5개를 한 줄로 이어 놓았다는 것은 이들을 하나의 별자리로 인식했다는 단적이 증거가 되며, 나아가 그 위치 관계라든가 모양으로 볼 때 카시오페이아 별자리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는 중국은 물론이고 일본의 고대 천문에도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이 별자리 그림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김 박사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는 서양에서 유래한 천문 인식이며, 전통 동아시아 천문에서는 카시오페이아는 ▲왕량(王良) ▲각도(閣道) ▲책(策)의 3개 별자리로 나뉘어 인식됐다"고 말했다.
이 중 왕량은 천자의 수레를 끄는 마부 이름이고, 책은 그 마부가 든 채찍을 지칭하며, 각도는 아마도 왕량이 채찍을 들고 몰아가는 천자의 수레가 다니는 길을 의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 박사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그림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동아시아 천문 관련 자료로는 고구려 덕흥리 벽화고분에서 발견된 W자형 별자리 그림이 있다"면서 "이 별자리를 북한 학계에서는 카시오페이아로 인식하며, 나 또한 그런 견해를 지지하지만, 그것을 뒷받침할 만한 방증 자료가 없다가 고려시대 자료가 연이어 출현함으로써, 고려의 천문전통이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국천문연구원 안상현 선임연구원은 "카시오페아 별자리가 전통 동아시아 천문도에는 없다는 점은 확실하다"면서 "그런 가운데 오직 고려시대 석관 자료 1점에서만 카시오페이아 별자리가 나타났는데 추가 자료가 발견됐다면 매우 의미 있는 사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들 고려시대 석관 별자리 그림에서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맞은편에 위치한 북두칠성 중 자루 부분 가운데 별자리(6번째 별자리) 바로 옆에 보성(輔星)이라 일컫는 제8의 별자리도 추가돼 있어 실제는 '북두팔성'(北斗八星)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의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
아울러 이들 별자리 그림에서는 2등성이기 때문에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 별자리인
북극성이 뚜렷이 표시돼 있어 고려시대에 북극성 신앙이 발달해 있었음을 엿보이고 있다. 북극성은 하늘의 별자리 중에서 이동이 없는 중심이라고 해서
흔히 천상의 제왕에 견주어졌으며, 그것이 신격화할 때 명칭은 천황(天皇) 혹은 천황대제(天皇大帝)라 일컬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신(天神)의 땅 계룡산을 다시 본다> (0) | 2006.11.16 |
---|---|
[스크랩] 왜 계룡산이었나 민속학회-공주대 첫 학술대회 (0) | 2006.11.16 |
[스크랩] <고려시대 석관에 출현한 카시오페이아> (0) | 2006.11.16 |
[스크랩] 천황(天皇)이 된 북극성(北極星) (0) | 2006.11.16 |
거제시청에 보관된 일본 승전비 (0) | 200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