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자료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동모

_______! 2008. 10. 29. 15:13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을 모순(矛盾)이라 한다. 중국 전국 시대 초나라의 한 장사치가 어떤 것도 뚫을 수 있는 창과 모든 것을 막을 수 있는 방패를 동시에 팔아 웃음거리가 된 것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왜 이 고사성어에서 창(槍)을 ‘모’라고 표기했을까. 현대에는 긴 자루 끝에 적을 베거나 찌를 수 있는 금속제 날이 달려 있는 무기들을 모두 창이라고 부르지만 고대에는 창·모(矛)·극(戟)·과(戈) 등의 의미가 엄격히 구별됐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장비의 ‘장팔사모’, 여포의 ‘방천화극’ 등도 현대적 의미에서는 모두 창이지만 당시에는 나름의 용어로 구분했던 것이다.

중국과 한국의 창 중에서 비교적 고전적인 양식에 속하는 것이 모다. 모는 금속제 창날 내부에 구멍이 있어 그 안에 나무자루를 끼우는 방식의 창이다. 모 중에는 날이 짧은 것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모는 날이 비교적 긴 것이 특징이며 주로 찌르는 용도로 사용됐다. 모는 일명 투겁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모 양식의 창이 처음 사용된 시기는 청동기 시대다. 고사성어 모순에 등장하는 모도 청동으로 만든 동모(銅矛)다.

동모에는 창날이 버들잎 모양인 유엽형(柳葉形), 비파 모양으로 생긴 비파형(琵琶形), 창날이 좁은 세형(細形), 중간 형태인 중광(中廣), 창날이 극단적으로 넓은 광형(廣形) 동모 등 다섯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유엽형 동모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형식이며 비파형 동모는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세형 동모는 비파형 동모보다 늦게 출현했으며 중국에는 없는 한국 고유 양식의 창이다.

대구시 서구 비산동에서 출토된 세형 동모는 창날 길이가 67.1㎝나 된다. 날이 길어 거의 칼을 연상시키는 것. 세형 동모의 경우 학자들에 따라 실전용이라는 견해와 강도가 약해 전쟁에서 쓸 수 없는 단순한 의장용품이라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광형 동모는 주로 일본에서 출토되고 있어 한때 일본 고유 양식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영남 지역에서 출토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어 광형 동모도 우리나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중광 동모도 주로 영남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세형 동모에서 광형 동모로 변해 가는 중간 과정을 보여 준다.

광형 동모는 창날이 너무 넓어 적을 찌르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불가능할 정도다.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광형 동모를 의장용품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의장용품 성격의 동모는 초기 철기 시대까지 사용됐다.

동모의 경우 아직까지 주로 고고학적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는 단계이며 실제 전쟁에서의 운용 양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출처 : 국방일보=밀리터리 리뷰, 2005. 3. 18 >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처 : 재규의 철학사전
글쓴이 : 구름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