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족보의 재발견] 현대 족보선 5급 이상 官職 기재 주간한국 [커버 족보의 재발견] 현대 족보선 5급 이상 官職 기재 기업 근무 직위는 기재하지 않지만 상장사 임원직은 예외 두기도 뿌리찾기 트렌드로 새롭게 주목… '인터넷 족보' 시대도 열려 족보제작 업체 엔코리아 최용석 사장이 족보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한 전자족보를 설명하고 있다. 임재범 기자 구시대.. 자료 2007.05.01
일본 호적에 입적된 한국 토종식물 일본 호적에 입적된 한국 토종식물 익모초, 인동초, 머위, 자작나무, 오리나무, 느릅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들 식물은 우리나라 곳곳에 살고 있는 우리 토종식물이다. 하지만 학명으로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익모초의 학명은 Leonurus japonicus Houtt. 일본을 뜻하는 .. 자료 2007.04.25
[스크랩] 전설은 섬이되어 바다에 머무르고... 거문항에서 뱃길로 40여분. 국가 명승지 7호로 지정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을 알고 있는가! 거문도와 함께 남해바다 최남단에 숱한 전설을 쌓아가며 오늘을 살아가는 대자연의 아름다움이 서려있는 곳이 백도이다. 거문도 서도의 수월산에서 바라보면 희미하게 보이는 섬, 백도. 100여개의 무인도로 이.. 자료 2007.04.21
[스크랩] 한글 비석에 대한 고찰 돌에 새겨서 세운 돌, 이것을 비석(碑石)이라고 한다. 이렇게 비석에 새긴 글자는 금석문의 하나로, 또는 역사적인 자료로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비는 중국에서 먼저 시작이 되었는데 한나라 이전에는 자연형의 돌에 새긴 각석(刻石)이 있었으나 정방형으로 돌을 다듬어 새긴 정식의 비는.. 자료 2007.04.21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5] 이서국 [영남일보/사회] 2007-04-19 08:09:41 입력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5] 이서국 신라와 어깨 견준 청도의 무력강국 유물출토·고증없이 문헌으로만 존재 체계적 연구로 역사유적 등 복원해야 /김진욱기자 jwook@yeongnam.com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이서국 영역도 ◇ 이서국 전설 때는 서기 297년. 신라 유례왕은 가야를 정벌하기 .. 자료 2007.04.20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4]우산국 [영남일보/사회] 2007-04-12 08:01:35 입력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4]우산국 면적은 小國 역사는 大國 "그 누가 우겨도 대~한민국" 현포리…선사시대 주민 집단거주지로 추정되는 '도읍지' 남양리…비파산 일대 자연 방어선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 /울릉=정용태기자 jyt@yeongnam.com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기자가 쓴 기사 .. 자료 2007.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