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305

'고구려냐 고구리냐’ 그것이 문제로다 2007년 5월 1일 (화) 02:35 조선일보

2007년 5월 1일 (화) 02:35 조선일보 ‘고구려냐 고구리냐’ 그것이 문제로다 ‘高句麗’는 ‘고구려’가 아니라 ‘고구리’라고 불러야 맞다? 전 고구려연구회장이자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 꾸준히 반박 논리를 펼쳐 온 서길수(徐吉洙) 서경대 교수는 곧 이런 내용이 담긴 논문 ‘高句麗 句麗 高麗 ..

자료 2007.05.01

[커버 족보의 재발견] 디지털 족보 국내 첫 도입 [주간한국 2007-04-30 15:27]

[커버 족보의 재발견] 디지털 족보 국내 첫 도입 [주간한국 2007-04-30 15:27] 한경수씨 청주 하씨 중앙종친회 부회장… 한자투성이 쉽게 바꿔 청주 한씨는 지난해 3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전자족보 시연회를 가져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 두껍고 한자 투성이의 접근하기 어려운 족보라는 일반인의 상..

자료 2007.05.01

[커버 족보의 재발견] 숨겨진 한국사 족보서 찾다 [주간한국 2007-04-30 15:33]

[커버 · 족보의 재발견] 숨겨진 한국사 족보서 찾다 이여송은 한국계… 유학사 연구에도 단서 제공 씨족의 병력도 드러나 유전병 예방에 도움도 조선조 1850년 무렵부터 1900년까지 전국적으로 사망 인구가 급증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이 기간에 전염병이 극심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전염병의 이..

자료 2007.05.01

[커버 · 족보의 재발견] 족보에 얽힌 문중 이야기 주간한국 2007-04-30

[커버 · 족보의 재발견] 족보에 얽힌 문중 이야기 남명 조식 종가, 絶孫으로 대 끊겨 안동 임청각 이명 종가는 면면히 이어지며 옛 명성 그대로 일부 문중은 신분 상승에 이용하기 위해 족보 조작하기도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항쟁했던 두 충신이 있었다. 청음 김상헌, 동..

자료 200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