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 |
연 대 |
|
1900년 6월 30일 | 의화단에 대비하여 의주(義州), 강계(江界), 북청, 경성(京城)에 진위대대 설치령 공포.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 5, 1971, 113쪽 |
1900년 6월 30일 | 육군헌병조례를 공포하여 원수부에 헌병사령부를 두도록 함. 출전 :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 육군본부, 1977, 404쪽 |
1900년 9월 19일 | 당시 서울의 군인수는 친위대(侍衛隊) 3,000, 시위대(侍衛隊) 2,000 , 평양병 1,000, 포병 1,000, 마병 1,000명이라 보도됨. 출전 : {제국신문} 1900년 9월 19일 |
1901년 6월 1일 | 헌병 2개중대를 5개 중대로 증원. 출전 :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 육군본부, 1977, 405쪽 |
1902년 8월 18일 | 칙령 제15호로 혼성여단편제를 공포, 보병 2개 연대, 기병 1개 중대, 포병 1개 중대로 혼성여단을 편성하게 함.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 5, 1971, 593쪽 |
1902년 10월 30일 | 칙령 16호로 시위대와 친위대의 연대편제를 재편, 공포하고 각 1개 대대씩을 증설하게 함. 출전 :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 육군본부, 1977, 398쪽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 5}, 1971, 648쪽 |
1903년 4월 15일 | 일본 미쓰이(三井)물산에서 구입한 군함 양무호(揚武號) 인천에 입항. 출전 : 장학근, {조선시대해양방위사}, 창미사, 1988, 292쪽 |
1903년 7월 29일 | 일본 미쓰이(三井)물산에서 구입한 군함 양무호(揚武號) 인천에 입항. 출전 : 장학근, {조선시대해양방위사}, 창미사, 1988, 292쪽 |
1904년 2월 8일 | 일본연합함대, 뤼순(旅順)항 밖에서 러시아 군함 공격. 러일전쟁 시작됨. 출전 : 후지와라 아키라 저, 엄수현 역, <일본군사사>, 시사일본어사, 1994, 119-139쪽 |
1904년 2월 9일 | 일본군, 한국정부의 중립 선언을 무시하고 서울에 진주. 출전 : 이광린 ,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94, 475쪽 |
1904년 2월 23일 | 한일의정서가 체결되어 일본군의 한국에서 자유로운 군사활동을 보장받음. 출전 : 이광린 ,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94, 475쪽 |
1904년 8월 23일 | 군정축소(軍政縮小)의 조칙 발표.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1, 1987, 423쪽 : {관보} 광무8년 8월 25일 |
1905년 4월 13일 | 친위대(侍衛隊)를 폐지하고 전체 군의 규모를 반으로 감축함. 출전 :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 육군본부, 1977, 417쪽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6, 1972, 213쪽 |
1905년 5월 11일 | 민종식(閔宗植), 홍산(鴻山)에서 의병을 일으켜 서천으로 이동.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 1997, 254쪽 |
1905년 11월 17일 | 을사조약 체결로 의병봉기가 전국에 확산됨(의병전쟁의 전개1(1904-1907. 7)). 출전 : 이광린 ,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94, 486-488쪽 |
1906년 3월 | 정환직(鄭煥直)과 아들 정용기(鄭鏞基)가 고종의 밀지를 받고 의병 봉기, 산남의진(山南義陣) 결성.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60-261쪽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 1999, 390쪽 |
1906년 4월 | 신돌석(申乭石), 고향 영해에서 동생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62쪽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 1999, 388쪽 |
1906년 5월 19일 | 민종식(閔宗植) 의병부대 홍주성을 점령, 31일까지 일본군의 공격을 물리치며 고수(홍주성 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54-256쪽 |
1906년 6월 4일 | 최익현(崔益鉉), 임병찬(林秉瓚) 등 전라북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킴.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탐구당, 1987, 360쪽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3, 1999 400쪽 |
1907년 1월 10일 | 홍범도, 차도선을 중심으로 한 북청지역 포수 의병부대가 갑산의 일본군 수비대 공격.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299-300쪽 |
1907년 7월 24일 | 한일신협약(정미7조약)이 체결되고 그 부수각서(附隨覺書)로 한국군의 해산이 결정됨. 출전 : 김봉열, <구한말 군제변화의 추이>,{경희사학}20, 1996, 108쪽 |
1907년 8월 1일 | 대한 제국의 군대해산. 시위1연대 1대대장 박승환(朴昇煥) 참령이 이에 항의, 자결. 출전 : 김봉열, <구한말 군제변화의 추이>,{경희사학}, 1996, 110쪽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 1997, 267-272 |
1907년 8월 5일 | 정위 김덕제(金悳濟)와 특무정교 민긍호(閔肯鎬) 지휘 하에 원주진위대(鎭衛隊) 봉기.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3, 1999 415쪽 |
1907년 8월 9일 | 수원진위대(鎭衛隊) 강화분견대가 봉기하여 일본군과 전투. (의병전쟁의 전개,전면적인 민족전쟁1907. 8-1909)).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3, 1999, 416쪽 |
1907년 8월 13일 | 이강년(李康秊) 의병부대, 제천을 무혈점령함.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73쪽 |
1907년 9월 | 기삼연(奇參衍), 전남 장성에서 재봉기하여 호남창의맹회소(湖南倡義盟會所)를 결성.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88쪽 |
1907년 10월 | 이구재(李九載), 이은찬(李殷瓚) 등의 의병장들이 관동창의대(關東倡義隊)를 조직하고 이인영(李麟榮)을 총대장에 추대.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76쪽 |
1907년 10월 10일 | 전해산(全海山), 진안에서 이석용(李錫庸)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87쪽 |
1907년 12월 6일 | 이인영(李麟榮)의 격문에 호응하여 13도창의군(十三道倡義軍)을 조직(의병의 무기).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77쪽 |
1908년 1월 29일 | 13도창의군 선발대, 서울 진공 작전을 개시하여 동대문 밖 30리 지점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나 후퇴(서울진공).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79 |
1908년 3월 | 안규홍(安圭洪) 부대, 파청에서 일본군 수비대를 매복 기습하여 승리를 거둠.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92쪽 |
1909년 1월 19일 | 이은찬(李殷瓚) 의병대 연평도의 일본군 파견대를 기습하고 물러남. 출전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1, 1970 563 |
1909년 9월 1일 | 일본군, 의병에 대한 이른바 남한대토벌 작전을 개시하여 10월까지 남부지방을 초토화함.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 1997, 293쪽 |
1910년 6월 21일 | 유인석(柳麟錫), 이범윤, 이상설 등 연해주에서 13도의군(十三道義軍) 결성. 출전 : 김도형, 〈농민항쟁과 의병전쟁〉, {한국사}12, 한길사, 1994, 231쪽 |
1910년 6월 22일 | 채응언(蔡應彦), 강두필의 의병부대 이천군에서 일본군 헌병대를 포위, 습격. 출전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1, 1970 685쪽 |
1915년 7월 5일 | 의병장 채응언(蔡應彦)이 평안남도 성천에서 체포됨으로써 국내에서 의병항쟁은 실질적으로 종식됨(11월 4일 사형당함).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3, 1978, 109쪽 |
1920년 6월 7일 |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부대가 길림성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을 공격, 150명의 사상자를 내게함.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304쪽 |
http://eroom.korea.com/post/board.aspx?bid=yco_83110&mode=read&view=board&pid=253027&page=1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십삼도창의대진소(十三道倡義大陳所)」의 연합의병운동(聯合義兵運動) (0) | 2008.07.13 |
---|---|
향토 의병 연구 (0) | 2008.07.13 |
정미의병 (0) | 2008.07.13 |
군대해산과 시가전(市街戰) (0) | 2008.07.13 |
1895년 8월 20일 (0) | 2008.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