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기자수첩> 천황봉이 일제 유산? 북한산 대신 삼각산?

_______! 2006. 11. 16. 19:50

<기자수첩> 천황봉이 일제 유산? 북한산 대신 삼각산?

2005년 03월 02일 (수요일) 11 : 13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귀신(鬼神) 곡(哭)할 일이고, 기절초풍할 노릇이다.
북한산(北漢山)은 일제가 명명한 이름이니, 그 이전에 쓰던 삼각산(三角山)으로 돌려야 한다고 한다. 전국 유수에 걸쳐 산봉우리 이름에 들어간 천황(天皇)이란 명칭이 일본 천황(天皇)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광복 60돌이 되는 지금까지도 백두대간에는 많은 일제의 그림자가 그 땅의 역사와 문화, 유래를 가진 땅이름으로 남아 청산되지 않고 있음"을 거론한다.
"일제강점기에 우리의 민족정신과 정체성을 없애기 위해 창지개명(創地改名)된 백두대간의 이름을 되찾고자 지난 3개월 동안 백두대간이 지나가는 32개 시ㆍ군의 자연지명(산ㆍ봉우리ㆍ계곡ㆍ폭포ㆍ마을이름)과 행정지명을 조사하였습니다."(출처 녹색연합 홈페이지)
그 결과 삼각산이 바른 명칭이며, 천황봉천왕봉이 바뀐 이름이라고 한다.
북한산이 우리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삼각산 대신 만든 이름이라면 신라 진흥왕이 이미 지금의 서울 일대에 설치했다는 북한산주(北漢山州)는 어디서 출몰한 유령이며,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보이는 북한산성(北漢山城)도 일제가 만들었는가?
전국 산봉우리에서 자주 발견되는 천황봉(天皇峯)의 천황(天皇)은 히로히토나 다이쇼 같은 일본 천황이 아니다. 천신(天神)의 우두머리인 천황대제(天皇大帝)다.
북극성을 신격화한 천황대제라는 천신은 흔히 지상으로 강림할 때 높은 산 꼭대기로 내려온다고 간주되었다. 산봉우리 이름에 천황이라는 말이 흔한 것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천황대제라는 신은 이미 신라 문무왕릉비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신라인들이 일본천황을 숭모했다고 할 것인가?
일제가 소위 창지개명(創地改名)했으므로, 돌려 바로잡아야 할 이름이라며 한 시민단체가 3.1절을 즈음해 제시한 22개 지명 중 일부 타당한 대목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단체가 제시한 상당수는 역사를 오도하고 있다. 천황과 관련되는 산봉우리 이름이나 북한산 운운하는 대목은 말할 것도 없고, 일제 이전 지명표기에 흔히 쓰이던 龜(구)라는 글자를 九(구)자로, 鷄(계)자는 溪(계)로, 豊(풍)은 風(풍)자로 바꿨다는 것도 민족정신 말살 운운이라는 주장과는 한참이나 거리가 멀다.
龜→九, 鷄→溪, 豊→風의 교체 현상이 민족말살 정책과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이런 교체 현상은 일제시대가 아니라 한자라를 표기 수단을 공유한 동아시아 사회에서는 비일비재한 일이다.
龜나 鷄, 豊과 같은 글자를 九나 溪나 風으로 바꾸는 현상은 말할 것도 없이 첫째, 발음이 같은 데다 둘째, 무엇보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훨씬 쓰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교체 현상은 일제시대 이전에도, 심지어 갑골문(甲骨文)에서부터 보이는 흔해 빠진 일이지, 일제에 의한 민족정신 말살 운운과는 하등 관계가 없다.
천황(天皇)이란 명칭이 일본적인 냄새가 난다고 하자. 또, 그것이 정말로 일제가 민족정신 말살을 위해 종래 쓰이던 천왕(天王)을 바꿔치기(즉, 창지개명)한 것이라고 하자. 같은 논리대로라면 천왕(天王)이라는 말은 기분 좋은가?
중국 후한시대를 대표하는 대학자 채옹(蔡邕.서기 132-192년)은 그의 저서 독단(獨斷)에서 이르기를 왕자(王者)의 지존(至尊)함을 가리키는 데는 네 가지 호칭이 있다고 하면서 왕(王), 천자(天子), 천가(天家)와 함께 천왕(天王)을 거론한다.
천왕(天王)에 대해 채옹은 "제하(諸夏. 즉 중국)가 칭하는 명칭이다. 천하가 귀의하여 가는 곳이므로 천왕(天王)이라 한다"(天王, 諸夏之所稱. 天下之所歸往, 故稱天王)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천자(天子)에 대해서는 "이적(夷狄)이 칭하는 호칭이다. 하늘을 아버지로 삼고 땅을 어머니로 삼으니, 그런 까닭에 천자라고 한다"(天子, 夷狄之所稱, 父天母地, 故稱天子)고 하고 있다.
같은 중국의 절대군주를 가리키고 있음이 명백한데 중국과 오랑캐라는 범주로 갈라 차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왕은 절대 중화주의 정신에 유래한 호칭이다.
천황이 싫다면, 이런 천왕은 좋은가?
taeshik@yna.co.kr
(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