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광화문, 100년전엔 위치도 모양도 달랐다 광화문, 100년전엔 위치도 모양도 달랐다 ▷ 경복궁의 건춘문 북쪽(현재의 국립민속박물관 자리)으로 강제 이전된 후의 광화문. 1928년 전후 사진으로 추측된다. 옮겨진 광화문 앞 하천에서 아낙네들이 빨래를 하는 모습이 보인다 ▷ 1890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새로 건립(1867년)된 광화문의 1900년 도 전후 .. 자료 2006.09.26
천둥새 천둥새】- [한국, 중앙아시아, 북동아시아] 햇대(Suntree)나 장승 위에 만들어 놓은 새의 형상. 이 앞에서 무당이 고사를 지냈다. 중앙아시아와 북아시아의 무당들은 지금도 큰 새로 분장하고 굿을 한다. [토템에서 새의 기능] 새의 기능: 대부분 - 오리, 남해안일부 제주도 - 까마귀 다산성 - 닭보다 크고 .. 자료 2006.09.26
[스크랩] [이한우의 朝鮮이야기(2)] 환관 김사행, 경복궁을 설계한 천재건축가 뉴스: [이한우의 朝鮮이야기(2)] 환관 김사행, 경복궁을 설계한 천재건축가 출처: 주간조선 2006.09.26 10:08 자료 2006.09.26
[스크랩] 하늘에 새긴 우리역사 - 천상열차분야지도 [하늘에 새긴 우리역사]는 천문학자인 박창범 교수가 쓴 저작의 제목입니다. 이 책은 그 동안 한국사에 기록된 수많은 천문기록, 즉 일식, 오로라, 달과 혜성의 움직임, 유성과 운석의 낙하 등 각종 천문기록을 통해 단군조선의 실체 및 고구려, 백제, 신라의 강역과 기존 정사인 ‘삼국사기’의 진위여.. 자료 2006.09.25
금줄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금줄이란 어느 곳에 늘이든지 그 곳은 신성한 곳임을 의미해 사람은 물론, 잡귀나 잡신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것이다. 금줄을 딴 이름으로는 금기줄[禁忌繩]·인줄[人繩]·좌삭(左索)·문삭(門索)·태삭(胎索)이라고도 부른다. 금줄은 어느 곳에 설치를 했는가에 따라서 형태가 다르다. 가장 중요하게 .. 자료 2006.09.22
[스크랩] 99칸 한옥--선교장(船橋莊) 조선 세종대왕의 둘째 형인 호령대군의 10대손 이내번이 이 곳에 터를 잡은 이래 300 여년이 지난 집으로 99칸을 갖춘 조선후기의 전통적인 한옥이다. 1965년 이 집 주인 할머니와 며느리의 노력으로 중요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받았다. 입장료는 성인 개인 2,000원. 성인 단체 1,500원. 어린이 개인 500원. 어.. 자료 2006.09.20
여씨별사 이것은 2006년 8월 8일 18:33:37 GMT에서 검색한 상태의 http://san.netian.com/san23/hg-8.htm에 대한 G o o g l e의 캐시입니다. G o o g l e '저장된 페이지'는 웹을 검색한 당시의 문서 상태를 보여 드립니다. 페이지 내용이 최근에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하이라이트 색깔표시 없이 현재 페이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 자료 2006.09.19
[스크랩] 저승가는 길과 살아 움직이는 자리 한참 자료를 뒤적거리다 뜻밖에 한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던 풍경들을 오랜만에 보았다. 여러 해 전에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담아놓은 것들인데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자니 혼자 보고 덮어두기가 아쉽기도 하고 나름대로 느끼는 바도 있어 이렇게 올려본다. 저승가는 길 먼저 현란한 상여를 따라 저승가.. 자료 2006.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