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3.웅녀의 운명, 그 몇 개의 변주 3.웅녀의 운명, 그 몇 개의 변주 타자화는 웅녀만의 운명은 아니다. 남성지배의 제도담론인 건국신화에 등록된 모든 여성적 존재들의 운명이다. 여기서 운명이란 사회적 관계 체계의 다른 이름인데 이 체계의 실체는 사회적 차별화의 체계이다. 그리고 이 체계는 그것이 운명이라는 믿음 위에, 즉 집단..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웅녀·유화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조현설 웅녀·유화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1.웅녀·유화 신화의 행방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단군신화에는 곰의 변신인 웅녀라는 여성이 있다. 그러나 단군신화는 그 이름처럼 단군과 환웅, 그리고 환인의 신화이지 웅녀의 신화가 아니다. 주지하다시피 단군신화에서 만나는 웅녀의 형상이란, 본..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동아시아 신화의 신과 인간, 그리고 주제 동아시아 신화의 신과 인간, 그리고 주제 1)창세신화와 홍수신화 2)시조신화와 건국신화 <관련 참고 자료> 천지단절신화의 아시아적 양상과 변천의 의미 1. 천지간에 일어난 일 천지는 분리를 통해 형성되었다는 것이 창세신화의 교리이다. 하늘과 땅이 맞붙어 있는 미분 화된 상태, 그것은 마치 알..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동아시아 신화를 보는 두 개의 시각-2 이윤기는 문화적 사대주의가 아니냐는 비난 섞인 질문에 대해 그리스 신화가 인간의 보편성을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스 신들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들의 이야기라고 말하고 있다. 이윤기의 말에 일면 타당성이 없는 게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리스로마 신화라는 것은 단지 보편적 인간을 말..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동아시아 신화를 보는 두 개의 시각 동아시아 신화를 보는 두 개의 시각 0.오늘 강연의 주제는 동아시아 신화의 내용을 소개하거나 그것을 어떻게 이른바 판타지 동화에 활용할 것인가, 아니면 (동아시아)신화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혹은 신화란 무엇인가, 이런 것이 아니다. 신화 자체가 아니라 신화를 둘러싼 담론의 문제가 오늘 이야..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수주팔봉 달래강의 전설 달천 석문 물길을 돌리기 위해 작은 능선을 인위적으로 절단한 수주팔봉 능선의 석문과 팔봉 폭포[2008 3. 14~15 · 한국의산천] 답사코스 : 문경 진남교반 - 토끼비리 - 고모산성 - 새재- 수주팔봉 달천 (국토대운하의 최대 난구간을 답사했습니다) ▲ 수주팔봉 능선의 석문은 인위적으로 절단한 것이다.ⓒ 2008 한국..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신화적 투쟁의 수수께끼[조현설] 신화적 투쟁의 수수께끼 1 인간이 한 생애를 살아간다는 것은 사나운 싸움의 강을 여럿 건너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마치 인터넷 게임에서 한 스테이지가 끝나면 더 난이도가 높은 다음 스테이지가 기다리고 있는 것과도 같다고 할까요. 인간은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부터 이미 존재를 위한 싸움을 시작..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문신 금기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단상 [조현설] 문신 금기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단상 두 어깨 위에서 흔들리는 문신 근래 우리는 문신에 관한 한국 사회의 두 표정을 목도한 바 있다. 하나는 골인을 자축하기 위해 웃옷을 벗어젖힌 한 축구선수의 어깨 위에 새겨진 문신이었고, 다른 하나는 병역기피라는 죄목으로 구속된 젊은이들의 등판에 아로새..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한국 현대시의 신화적 상상력에 대한 명상 한국 현대시의 신화적 상상력에 대한 명상 글쓴이: 조현설 조회수 : 210 04.05.17 12:12 http://cafe.daum.net/poet04/ERae/4 은유와 지혜 1 아무르 강 하류와 사할린 지역에 살고 있는 니브히 족이라는 소수 종족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곰 넋 보내기’라는 정교하고도 흥미로운 제의를 치릅니다. 이들은 숲에서 .. 보조자료 2008.08.09
[스크랩] 왜 동아시아 신화인가? [조현설] 왜 동아시아 신화인가?(우선 인사삼아 짤막한 글 하나) 글쓴이: 조현설 조회수 : 199 04.04.12 17:14 http://cafe.daum.net/poet04/ERae/1 근래 우리를 둘러싸고 벌어진 두 가지 현상이 있다. 하나는 떠들썩하다가 잠잠해졌고, 다른 하나는 조용한 열풍으로 번지고 있다. 잠잠해진 것은 중국의 동북프로젝트를 둘러싼 .. 보조자료 200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