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국의 전통무기] 삼국시대의 갑옷과 군장 지금까지 삼국시대 군대의 모습을 어느정도 고증 해봤지만 약간 포괄적인 것 같아서 이번에는 갑옷과 군장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알아 볼까 합니다. 애초에 저 자신도 비 전문가로서 거의 도전하는 식으로 달려 들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지금 다시보면 어.... 저것이 아닌디.... 그런..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전통무기] 조선의 보병 "팽배수" 모처럼 흥미로운 자료를 보게 되어서 간단히 언급을 해보는 차원에서 조선의 보병중의 하나인 팽배수를 살펴 보겠습니다. 이건 다크님이 링크해주신 그림인데 조선수군과 왜수군의 접전을 묘사한 일본측의 자료라고 합니다. 제가 상당히 관심을 가진 그림인데 방패를 든 조선의 보병입니다. 조선의 ..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전통무기] 전통무예/무기 체계 해석과 복원상 한계 근래에 높아진 우리 전통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특히 밀리터리 취향에 대한 높은 관심이 더해져, 우리나라 고대 이래의 전통 무기 및 무예, 전투형태에 대한 복원 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군사사(軍事史)의 일환으로 전문적인 역사학자들의 심도있는 연구와 아울러 일반 동호인들과 무술인..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동모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을 모순(矛盾)이라 한다. 중국 전국 시대 초나라의 한 장사치가 어떤 것도 뚫을 수 있는 창과 모든 것을 막을 수 있는 방패를 동시에 팔아 웃음거리가 된 것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왜 이 고사성어에서 창(槍)을 ‘모’라고 표기했을까. 현대에는 긴 자루 끝에 적을 ..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과(戈) 과(戈)는 모(矛)와 함께 가장 고전적인 창 종류 중의 하나다. 과는 금속제 날을 나무자루 끝에 직각 방향으로 부착한다는 점에서 다른 창과 구별된다. 과는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서양이나 중동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동아시아 특유의 무기다. 중국에서 과는 기원전 16세기 은(殷)나라 시절.. 보조자료 2008.10.29
한국의 군사문화재 - 극 (戟) 극(戟)은 이중으로 된 날을 가진 고전적 양식의 창이다. 찌르는 것이 주 용도인 모(矛·군사문화재 68회)와 전차에 탄 적을 끌어당기는 무기인 과(戈·69회)를 결합한 형태의 무기가 바로 극이다. 과의 자루 끝에는 모와 비슷한 형태의 날인 ‘자’(刺)가 붙어 있고 그 아래에는 과 형태의 날인 ‘원’(援..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순례 - 400여년전 거북선 실체 더듬어 보기 거북선(龜船)은 한국의 전통 무기 체계 중 상징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생부터 시골의 촌로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 중 거북선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면서도 그 정확한 실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거북선 연구사(硏究史)를 중심으로 거북선..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장방패와 장패 ‘세종실록 오례의’와 ‘국조오례의’에는 조선 초기의 방패인 장방패(長防牌)의 그림이 남아 있다. 두 책에 나오는 장방패는 약간 모양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동일한 계열의 방패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을 보면 장방패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에 가까운 방패이며 높이가 117.6cm(5척6촌), 폭이 46.2cm(2척2..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조선시대 원방패 조선 초기의 서적인 ‘세종실록 오례의’(1454년)와 ‘국조오례의’(1474년)를 보면 당시의 방패는 장방패·원방패 두 종류가 있다고 돼 있다. 원방패는 말 그대로 둥글게 생긴 방패다. 조선 초기에는 방패를 팽배(彭排)라고 불렀기에 원방패를 원팽배로도 표기한다. ‘세종실록 오례의’ 등에 따르면 ..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조선시대 등패 우리 역사상 가장 처절했던 전란인 임진왜란은 조선 사회의 많은 것을 바꿔 놓았다. 전쟁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변화를 몰고 왔다. 군사 분야는 말할 것도 없었다. 중국 명나라 장군 척계광(戚繼光)류의 병법이 전쟁 중 새롭게 조선에 수용되면서 전술·편제·무기가 크게 바뀐 .. 보조자료 200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