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수노(手弩) 삼국 시대·고려 시대에 이어 조선 시대에도 쇠뇌(弩)는 계속 사용됐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 쇠뇌는 활에 비해 소홀히 취급돼 군대에서 비중 있는 무기로 운용되지 못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가끔 쇠뇌와 관련된 기사가 등장하지만 어느 기록에도 군에서 쇠뇌를 대량 운용했다는 내용은 나오..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순례 - 녹로노 1767년(영조 43년)에 간행된 쇠뇌 관련 서적인 ‘노해’(弩解)에는 기계적 장치를 활용해야 시위를 당길 수 있을 정도의 대형 쇠뇌가 등장한다. 강노(强弩)·중노(中弩)·소노(小弩)가 바로 그러한 대형 쇠뇌들이다.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대형 쇠뇌들은 이름만 남아 있을 뿐 구체적인 작동 방법은 불.. 보조자료 2008.10.29
한국의 군사문화재 - 전통(箭筒) 이순신 장군이 젊은 시절 훈련원 봉사로 일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이순신은 직속 상관의 부당한 지시를 거부하다가 파직을 당했다. 이순신은 파직당한 울분을 활터에 나가 활을 쏘는 것으로 풀었다. 마침 이순신이 출입하던 활터에는 정승 유전(柳琠·1531~1589)도 자주 나왔다. 하루는 유전이 이순신이..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시복(矢服) 현대 군사 용어 중에 ‘기본 휴대량’(Basic Load·BL)이라는 말이 있다. 개인 또는 편제부대가 보유하도록 인가된 각종 탄약의 양(量)이 바로 기본 휴대량이다. 기본 휴대량은 각 화기나 부대별 보유 수량으로 표시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현대 미군의 M16A2 소총의 개인별 기본 휴대량은 30발이 들..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깍지 KBS 1TV ‘불멸의 이순신’ 출연자들이 국궁(國弓)의 활시위를 양궁(洋弓)처럼 당긴다는 시청자들의 지적이 나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드라마에서 원균 역을 맡은 최재성이 검지와 중지로 화살을 잡고 활을 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 국궁은 엄지손가락에 깍지를 끼고 여기에 활시위를 걸어 화살을 ..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삼국시대의 방패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한 방호 용구’ ‘창·칼·화살 등을 막는 데 쓰는 무기’. 사전에 나오는 방패의 정의다. 방패는 오랜 세월 전장에서 널리 사용해 온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군사 문화재 중에 별로 조명받지 못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방패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고려시대 방패 고려 시대 무기류는 한국 전통 무기 분야 유물 보존과 연구에 있어 일종의 공백지대라고 할 수 있다. 삼국 시대와 달리 고려 시대 고분에는 무기류를 부장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조선 시대 무기류처럼 전세품(傳世品)이 남아 있는 것도 아니다. 실물 유물이 남아 있는 경우가 희귀한 것..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고려시대 총통 [사진설명] 서울중앙지검 증거물과에 보관중인 국내 最古 총통으로 추정되는 청동 총통. 7년 전 사기 사건에 연루돼 서울 중앙지검에 압류된 총통(사진)이 진짜 고려 시대 총통인지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20일 주요 언론은 일제히 “국보급 고려 시대 총통이 서울 중앙지검 창고에 방치됐다”는 내.. 보조자료 2008.10.29
[스크랩] 한국의 군사문화재 - 조선시대 방패를 찾아서 문화재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희소성이다. 사실 방패는 공예적으로 가치가 있는 수준급 미술품은 아니지만 실물이 희귀하기 때문에 호기심을 자아낸다. 국방군사연구소가 1996년 발행한 ‘한국 군사 유물집’은 현존하는 전통 무기들을 집대성한 사진집. 하지만 이 책에도 방패는 항목 자.. 보조자료 2008.10.29
한국의 군사문화재 - 태조 어궁구(御弓具) 우리 역사상 가장 유명한 명궁은 다름 아닌 조선의 태조 이성계다.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용비어천가’ 등 여말선초(麗末鮮初) 시대를 다룬 각종 역사서에는 이성계의 전설적인 활 솜씨에 대한 일화가 수도 없이 실려 있다. 고려 공민왕 19년(1371) 장군이었던 이성계는 1만5000명의 병력을 동.. 보조자료 2008.10.29